전체메뉴보기

본문

시 조

  • 홈

豊川 任氏 (풍천 임씨) 시 조 : 임 온(任 溫)

본관 및 시조의 유래( 本貫 始祖由來)

 

 

시조(始祖)는 본래 중국(중국) 소흥부(紹興) 자계현(慈繼縣) 사람인 임 온(任 溫)이시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그는 제국대장공주(齊國大長公主)를 배종(陪從)하고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풍천(豊川)에 사적(史蹟)된 것으로 전하는데 이로 인해 후손(後孫)들은 풍천을 본관(本貫)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임 온(任 溫)의 6세손(世孫)인 임 주(任 澍)가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경상도 안찰사(慶尙道按察使)를 거쳐 어사대부(御史大夫:어사대의 정3품 벼슬)와 (監門大將軍:6위의하나인 감문위에 속한 (종3품 벼슬) 을 역임하였는데, 풍천임씨는 그의 아들 대(代)에 와서 백파(伯派:자송)와 중파(仲派:자순)로 크게 나뉘며 두 파에서 고루 인물을 배출하여 가문(家門)을 중흥시켰다.

 

임자송(任子松)은 (백이정(白?正)의 문인(門人)으로 조적(曺?)의 난(亂때) 공을 세워 정난공신(靖亂功臣)에 올라 서하부원군(西河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임자순(任子順)은 통정대부(通政大夫:정3 품의 관계)로서 민부 전서 (民部典書:호조의 정 3품 벼슬)를 역임하였다.

임자송(任子松)의 6 세손인(임원준(任元濬)은 당대의 명관(名官)으로 시(詩)와 문장(文章)이 뛰어나 명성을 얻었으며,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진 후 좌찬성(左贊成:의정부 소속의 종 1 품 벼슬)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임사홍(任士洪)은 한어(漢語)에 정통하고 해서((楷書)에 뛰어났으며, 두 아들 임광재(任光載: 현숙공주와 결혼)와 임숭재(任崇載:휘숙옹주와 결혼)가 각각 조선(朝鮮)의 예종(睿宗)과 성종(成宗)의 부마(駙馬)가 되었다.

또한 임 열(任 說)은 임자송(任子松)의 8세손으로 대사간(大司諫). 대사헌(大司憲)에 이어 .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한성부 으뜸벼슬로 정2품)을 역임 하였고, 임자순(任子順)의7세손인 임유겸(任由謙)은 중종(中宗) 때 大司憲)과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거쳐 형조. 공조판서(刑曹. 工曹判書)를 지냈는데 이들의 후손에서 많은 인물(人物)들이 배출되어 풍천임씨(豊川任氏)의 2 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임추(任樞). 임권(任權). 임병(任柄) 삼형제가 모두 뛰어났다. 맏아들 임추(任樞)는 대사간(大司諫).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를 거쳐 호조참판(戶曹參判)에 이르렀고, 임권(任權)은 이조 정랑(吏曹正郞). 예조참판(禮曺參判)을 거쳐 관찰사(觀察使) 및 병조. 예조 판서(兵曹.禮曺判書)를 역임한 뒤 좌참찬(左參贊)에 이르렀다.

막내인 임병(任柄)도 홍문관 박사(弘文館博士) 및 이조 좌랑(吏曹佐郞: 이조의 정 6 품 벼슬)을 지냈으며 글씨에 탁월한 재질(才質)을 보였다.

임추(任樞)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임호신(任虎臣)과, 형조 참의(刑曹參議:형조에 속한 정 3 품 벼슬)에 이른 임보신(任輔臣), 임주(任柱)의 아들로 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와 전주 부윤(全州府尹: 지방의 문관 직으로 종 2품 벼슬)을 지낸 임내신(任?臣), 임몽신(任夢臣)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공을 세운 임탁(任鐸)과 임현(任鉉) 등이 대(代)를 이어 가문(家門)을 빛냈다.

또한 풍천 임씨 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은 승려의 몸으로 국가(國家)가 위기에 봉착하자 분연히 일어나 의승(義僧)을 이끌고 왜병(倭兵)에 대항하여 전공(戰功)을 세운 사명대사(四溟大師)인데, 그는 임자순(任子順)의 6세손으로 본명(本名)은 임응규(任應奎), 법명(法名)은 유정(惟政)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임수성(任守成)의 둘째아들이시다.

 

이외에도 재사(才士)로 이름난 임광(任?)은 통신사(通信士:조선에서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로 일본에 다녀와 형조 참판(刑曹參判). 관찰사(觀察使)를 거쳐 도승지(都承旨:승정원의 으뜸벼슬로 정 3품)를 역임하였고, [목동가(牧童歌)]를 지은 임유후(任有後)도 예조 참판(禮曺參判). 관찰사(觀察使). 도승지(都承旨) 등을 역임 하였다.

소현세자(昭顯世子)가 심양(瀋陽)에 볼모로 갈 때 배종(陪從)한 뒤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 [효종실록(孝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한 임한백(任翰伯). 문장과 글씨가 탁월하고 경사(經史)에 정통하여 명성을 얻으며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오르고 기로소(耆老所:정 2 품 이상의 관직을 지낸 70세 이상의 신하나 임금이 등록됨)에 들어간 임홍망(任弘望)과 대사성(大司成).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역임한 임방(任?) 등이 유명하다.

 

풍천임씨의 가세(家勢)는 여기서 끓이지 않고 계속 되였는데, 근세(近世)의 명필(名筆)로 형조 참판(刑曹參判). 도승지(都承旨)를 지낸 임수적(任守迪), 大司諫)으로 고금의 시가(詩歌:가사를 포함한 시. 문학의 통칭)에 통달하고 글씨에도 능하였던 그의 아들 임정(任珽), 그리고 조선조(朝鮮朝) 성리학(性理學: 주희에 의해 완성된 송대 유학 의한 계통) 의 6 대가 (大家)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임성주(任聖周)와 일원적(一元的) 관념(觀念)으로 주기설(主氣說)을 확립한 임정주(任靖周)는 형제(兄弟) 학자로서 당대에 뛰어난 임물(人物)들이다.

 

(우)04039 서울시 마포구 홍익로3길 20 서교오피스텔 525호

전화 : 02-338-6179  팩스 : 02-334-8567 Email : pci6179@naver.com

제 작 : 뿌리정보미디어 www.yesjokbo.com

ⓒ2022 풍천임씨중앙종친회. All rights reserved.

페이지상단 바로가기